“이것은 제노사이드 이상의 야만”

[2013.09.30 제979호]

[기획 연재1-버마 종족·종교 갈등의 현장을 가다(상)] 
로힝야 정치인 우초민 전 인민의회 의원 “로힝야 무장조직? 생필품도 없는데 무기는 무슨 수로…”

* 필자는 <리영희재단>의 지원으로 지난 7월 29일부터 8월 26일까지 버마(미얀마) 서부 아라칸주와 중북부 만달레이주 만달레이와 멕띨라를 취재하고 왔습니다. 아라칸 주는 지난 해 6월과 10월, 중북부 만달레이 올해 3월 무슬림계 소수민족 로힝야와 캄만 무슬림 그리고 버마 무슬림들에 대한 불교도들의 약탈과 학살로 극심한 혼란을 겪은 지역입니다. 약 2년에 걸쳐 진행중인 버마의 민주화와 개혁은 종교적·인종적 소수자들의 철저한 배제 아래 이뤄지고 있다는 점에서 그 한계 역시 명확하다는 게 중론입니다. 기획 기사는 2회에 걸쳐 시사 주간지 <한겨레21> 에 게재됩니다. 본 사이트에는 지면상 싣지 못한 부분과 사진을 보충하여 게재합니다. / 이유경 Penseur21

우초민 (U Kyaw Min) 전 인민의회 CRPP 의원 (© Lee Yu Kyung)

우초민 (U Kyaw Min) 전 인민의회 CRPP 의원 (© Lee Yu Kyung)

우초민(68·사진)은 1990년 총선 당시 ‘인권을위한국민민주당’(NDPHR) 소속으로 당선됐다. 그러나 군사정권은 총선 결과를 인정하지 않았고 인민의회(CRPP)라는 재야의회 이름으로 활동해왔다. 2005년 3월 온 가족이 구속됐다. ‘로힝야 주제에’ 부정으로 ‘핑크카드’(NSC)를 발급받았다는 이유였다. 당시 그가 지닌 핑크카드의 ‘인종/종교’ 표기란에는 ‘인디언/이슬람’이라고 적혀 있었다. ‘로힝야’로 적는 게 불가능하기 때문에 담당 공무원이 정한 ‘신분증용’ 인종이었다. 우초민은 47년형, 아내와 세 자녀는 각각 17년형을 선고받아 7년여 옥살이를 하던 지난해 초 대통령 특사로 온 가족이 석방되었다.

-이력이 흥미롭다. (시민권 없는) 로힝야인데 선출된 국회의원이었다니.

=문제될 게 없었다. 독립 이래 1990년대 초까지 로힝야는 이 나라의 시민권을 갖고 있었다. 지금은 3세대 이상 이 땅에 살고 있음을 증명해도 ‘귀화시민’(Naturalized Citizen) 신청 밖에 못한다. 귀화시민은 우리를 외국인이라 전제하고 신청하는 거다.

-그래서 받아들일 수 없다는 얘긴가.

=그렇다. 방글라데시로 보내면 기꺼이 가겠다. 모든 걸 잃었다. 로힝야 무장조직 운운하는 거 전부 거짓이다. 생필품도 없는데 무기는 무슨.

-아웅산수찌는 로힝야가 시민인지 아닌지 모르겠다고 한다.

=수찌는 시민권법이 국제 기준에 맞아야 한다는 말 정도는 한다. 그 점 때문에라도 그녀를 존경한다.

-1982년 당시 시민권법이 바뀐 배경을 어떻게 분석하나.

=네윈이 집권하던 1978년 ‘나가 민’이라는 작전명하에 20만 로힝야들을 방글라데시로 쫓아낸 적이 있다. (당시 로힝야 무장조직을 토벌한다는 명목하에 수십만 로힝야들을 방글라데시로 축출한 작전이다. -필자) 방글라데시로 쫓겨간 로힝야들은 옛 그린카드(NRC)를 소지하고 있었다. 그들이 버마 시민이란 증거다. 그래서 나온 게 NRC 카드를 무용지물로 만들고 새로운 시민권법을 제정한 거다. 1982년 시민법 자체가 로힝야를 겨냥한 음모다.

-보트 타고 떠나는 이들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나.

=물론 떠나지 않는 게 낫지. 자꾸 떠나면 우리 입지가 좁아지게 되니까. 하지만 난민캠프 안에 있는 이들은 그나마 비정부기구(NGO)로부터 구호물자라도 받지만 가옥이 불타지 않은 이들은 난민이 아니니 구호품을 받을 수도 없고, 생계 수단도 없다. 이 상황에서 무엇을 할 수 있겠나.

-이 상황을 무엇이라 정의하겠는가.

=적절한 단어가 없다. <알자지라> 다큐가 ‘보이지 않는 제노사이드’라 했는데, 일부 드러난 폭력에 ‘제노사이드’란 제목이 달릴 수 있다면 전체 그림이 드러났을 때 제노사이드 이상의 무엇이 있지 않겠는가. 그러나 우린 그걸 증명할 처지가 못 된다. 한 마을에서 다른 마을로 이동할 자유조차 없으니까.

-당신이 옥살이를 한 건 로힝야라는 정체성과 야당 정치가라는 점 둘 중 어느 게 더 작용했나.

=둘 다. 나 외에도 로힝야 정치인이 몇 명 있지만 그들은 처벌받지 않았다. 이 점에선 내 정치 활동 때문이다. 그런데 다른 CRPP 의원들의 활동은 옥살잇감이 되지 않았다. 이 점에선 내가 로힝야이기 때문이다.

취재지원 리영희재단

랑군(버마)=글·사진 이유경 국제분쟁 전문기자 Lee@penseur21.com

기사 원문 보러 가기 클릭

Leave a Reply

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:

WordPress.com Logo

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.com account. Log Out /  Change )

Facebook photo

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. Log Out /  Change )

Connecting to %s